|
우울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방법 영동신경정신과 |
|
1. 만사가 귀찮고 아무도 만나고 싶지 않다며 방안에 들어앉아 게임만 하는 남동생, |
우울증이 생기면 굉장히 무기력해지고, 부정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. 은둔적인
생활이 늘어나면서 지나친 걱정과 고민을 하게 됩니다. 우울증이 심해지면 미래의
꿈이 없거나 실패한 삶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. 우울증이 더 심해지면 타인과의
교류가 거의 없고, 자살까지 생각하게 됩니다.
|
2. 우울증은 왜 생기는 건가요. 성격적으로 우울증에 잘 걸리는 성격이 있나요. |
우울증은 유전적인 원인, 생물학적인 원인, 생활 및 환경적인 원인 등 다양한 원인이
있는데요. 가족력이 있는 경우 우울증의 발병이 강하게 나타납니다. 또 남성에 비해
여성이 두 배 가량 우울증에 잘 걸립니다. 우울증의 생물학적 원인으로는 뇌의 화학
물질인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에 있습니다.
|
3. 우울증과 조울증은 다르다고 들었는데요. 우울증과 조울증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해주세요. |
조울증은 우울증 증상의 하나로 기분장애의 대표적인 질환입니다. 조울증에서도 우울증
증상이 나타나지만 우울증에는 그 외에도 여러가지 병들이 있습니다. 조울증은 기분이
들뜨거나 기분이 가라앉는 증상이 교대되는 양극성장애로 일반적으로 병의 경과상 주요
우울증 삽화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조울증은 70%가 우울증으로
시작됩니다. 대부분 우울증과 조울증 모두를 경험하거나 10~20%는 조울증만 경험합니다.
|
4.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알고 싶습니다. |
운동을 자주하면 몸도 건강해지지만 스트레스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
예방에 도움이 됩니다. 또 되도록 혼자 있는 시간을 피하고, 가족이나 친구들과
함께 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.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고, 수면
시간 역시 일정한 것이 좋습니다. 취미생활을 즐기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
|
5. 신경정신과에서는 우울증을 어떻게 치료하나요. 치료받으면 완치가 가능한가요. |
우울증을 치료하려면 약물치료와 가족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항우울제는 감정을
조절하는 세로토닌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뇌 신경전달물질의
불균형을 바로 잡아 줍니다. 2~3개월 약을 꾸준히 복용하면 정상화되는 경우가
많습니다. 또 주변의 가족들의 관심과 협조가 있다면 우울증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.
'일반정신건강 > 우울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우울증과 친구가 되자(우울증 극복 하기)_영동신경정신과 (0) | 2013.04.18 |
|---|---|
| 산후우울증 예방 및 치료방법 - 교대역신경정신과 (1) | 2013.03.26 |
| 조증증세/조증치료 (0) | 2013.02.04 |
| 우울증 치료_산후우울증 (0) | 2013.01.24 |
| 우울증 병원 극복을 (0) | 2013.01.14 |